프로젝트 계획서

2025 동서울대학교 졸업작품 프로젝트

[ 애완동물 짝 찾기 ]

프로젝트 계획

2025년 4월 28일

팀명 : fireballs

팀장 : 이강(TL) 팀원 : 전민관, 문수혁, 유병선

📑 프로젝트 계획서 목차

  1. 개요   1.1 프로젝트 개요   1.2 프로젝트의 산출물   1.3 정의, 약어
  2. 자원 및 일정 예측   2.1 자원     가. 인력     나. 비용   2.2 일정
  3. 조직 구성 및 인력 배치   3.1 조직 구성   3.2 직무 기술
  4. WBS
  5. 기술관리 방법   5.1 변경 관리   5.2 위험 관리   5.3 비용 및 진도 관리   5.4 문제점 해결 방안
  6. 표준 및 개발 절차   6.1 개발 방법론
  7. 검토 회의   7.1 검토회 일정   7.2 검토회 진행 방법   7.3 검토회 후속 조치
  8. 개발 환경
  9. 성능 시험 방법
  10. 문서화
  11. 유지보수
  12. 설치, 인수
  13. 참고문헌 및 부록

1. 개요

1.1 프로젝트 개요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의 짝을 찾아주거나 보호자들끼리 교류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니즈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SNS나 커뮤니티 플랫폼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지 않아, 보호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교감하는 데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ireballs 팀은 반려동물 짝 찾기와 보호자 커뮤니티 기능을 통합한 웹 플랫폼을 기획하게 되었다. 이 플랫폼은 보호자와 반려동물 모두의 필요를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편리한 반려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는 이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반려동물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친구를 쉽게 찾아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강, 훈련, 돌봄 등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들끼리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 실질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된다. 위치 기반 검색 기능은 사용자 주변에서 적합한 매칭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고, 실제 만남까지 보다 효율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여기에 실시간 알림과 채팅 기능이 더해져, 사용자 간 빠른 소통과 즉각적인 연결이 가능해지는 것도 큰 장점이 된다. 또한 저희 플랫폼은 단순한 교류를 넘어, 유기동물 입양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보호소와의 협력을 통해 입양을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동물을 연결함으로써, 유기동물 보호와 입양 문화 확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플랫폼은 보호자와 반려동물 모두에게 유익한 가치를 제공함은 물론, 건강한 반려문화 조성에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1.2 프로젝트의 산출물 계획서, 요구분석서, 설계서 웹 환경에서 작동하는 반려동물 짝짓기 프로그램

1.3 시스템의 주요 기능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 설명: 사용자는 이메일/비밀번호를 통해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할 수 있다. 소셜 로그인도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 스택: Spring Security, JWT 반려동물 등록 및 프로필 관리 기능 설명: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정보를 등록하고, 프로필을 관리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이름, 품종, 나이, 성별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기술 스택: RESTful API, MySQL 매칭 시스템 기능 설명: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반려동물과 매칭할 수 있다. 매칭 조건을 설정하여 원하는 반려동물을 찾을 수 있다. 채팅 기능 기능 설명: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해 채팅할 수 있다. 실시간 메시지 전송과 알림 기능이 포함된다. 기술 스택: WebSocket 위치 기반 검색 기능 설명: 사용자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의 반려동물을 검색할 수 있다. 기술 스택: Google Maps API 알림 시스템 기능 설명: 반려동물의 상태나 매칭 알림, 채팅 알림 등 다양한 알림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1.4 정의, 약어 Java : 객체 지향 기반의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한 번 작성하면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write once, run anywhere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정성과 확장성이 뛰어나 서버 사이드 애플리케이션, 안드로이드 앱, 금융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DB(database) :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로는 MySQL, PostgreSQL 등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데이터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Spring : 자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기업용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Ioc(제어의 역전), DI(의존성 주입), AOP(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등을 기반으로 복잡한 시스템을 보다 유연하고 모듈화된 구조로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Spring Boot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복잡한 설정 없이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젝트입니다. 내장 톰캣, 자동 설정, 실행 가능한 JAR 파일 등 덕분에 빠른 개발, 간단한 배포, 생산성 향상에 큰 장점을 가집니다.

MySQL :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중 하나입니다. 구조화된 쿼리 언어(SQL)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 검색, 갱신할 수 있으며, 가볍고 성능이 뛰어나 중소규모 서비스부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까지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JPA(Java Persistence API) : 자바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해주는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표준 기술입니다. 복잡한 SQL 없이 자바 코드만으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Hibernate 등 다양한 구현체가 존재합니다.

Docker : 소프트웨어를 실행 환경과 함께 컨테이너로 패키징하여, 어디서든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입니다. 개발 → 테스트 → 배포까지의 과정을 일관된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어 DevOps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았습니다.

Jenkins : 오픈소스 자동화 서버 도구로, 지속적 통합(CI)과 지속적 배포(CD)를 가능하게 합니다. 코드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 과정을 실행시켜 개발 효율성과 품질을 높여주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Git, Docker, AWS 등과 연동이 가능합니다.

AWS(Amazon Web Services) :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AI 등의 다양한 기능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합니다. 초기 인프라 비용 없이 필요한 만큼만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널리 사용됩니다.

IntelliJ(IntelliJ IDEA) : JetBrains사에서 개발한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Java 개발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Spring, Kotlin, Gradle 등 다양한 기술과의 통합이 매우 뛰어납니다. 자동 완성, 코드 분석, 리팩토링 기능이 강력하여 많은 Java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도구입니다. (문서 내 사용되는 용어와 약어 정의)

2. 자원 및 일정 예측

2.1 자원 가. 인력 이 강, 유병선, 전민관, 문수혁 총 4명 나. 비용 (예상 비용 또는 예산 계획) 2.2 일정 (프로젝트 주요 일정 및 마일스톤)

3. 조직 구성 및 인력 배치

3.1 조직 구성 이 프로젝트는 4인의 팀으로 구성되며, 각 팀원은 역할에 따라 기능을 분담하여 개발을 진행합니다. 역할 팀원 주요 담당 팀장 (PM) 이강 발표 및 전체 일정 관리, 이메일 전송 및 프론트단 알림 UI 개발 프론트/백엔드 개발자 문수혁 회원가입/로그인, 채팅 기능, 관리자 기능 총괄 백엔드 개발자 전민관 반려동물 등록/관리, 검색 기능 (품종, 성별 등) API 구현 위치 서비스 담당 유병선 위치 기반 탐색 기능, 지도 연동

3.2 직무 기술 각 팀원이 맡은 구체적인 업무 및 책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강 (PM / 이메일 시스템 담당) 전체 프로젝트 일정 조율 및 발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이메일 알림 시스템 구현 (SMTP)

이메일 인증 로직 설계 및 관련 UI 구현

알림 및 사용자 피드백 관련 UI 개발

WebSocket을 활용한 실시간 채팅 기능 개발 지원

관리자 기능(유저 정지, 게시글 삭제, 공지 전송 등) 일부 구현 및 관리

💻 문수혁 (프론트엔드 / 백엔드 시스템 담당) Spring Security 기반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 구현

실시간 채팅 기능 구현

관리자 기능 전체 구현 및 관리

프로젝트 전체 디자인 및 화면 설계

AWS 배포, Docker 설정 등 최종 배포 작업

기능 테스트 및 버그 수정

웹사이트 사용자

🐾 전민관 (백엔드 / 검색 기능 담당) 반려동물 정보 등록 및 프로필 관리 API 개발

품종, 몸무게, 성별, 나이 기반 검색 필터 기능 구현

JPA를 활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및 최적화

🗺 유병선 (위치 서비스 개발자) Google Maps 또는 Kakao Maps API 연동 0

지도 기반 위치 탐색 기능 구현

사용자 위치 권한 요청 및 위치 정보 처리

4.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ID 작업 항목 세부 작업 내용 담당자 예정 기간 스프린트 1 기획 및 설계 서비스 기획, 요구사항 정의, 화면 설계, 기본 UI 디자인 문수혁 5/1 ~ 5/20 스프린트 1 2 사용자 기능 개발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 구현 문수혁 5/8 ~ 5/14 스프린트 1 3 반려동물 프로필 기능 반려동물 등록, 프로필 관리 API 전민관 5/15 ~ 5/21 스프린트 1 4 검색 기능 개발 품종, 몸무게, 나이, 성별 등 조건 기반 검색 기능 전민관 5/29 ~ 6/4 스프린트 2 5 알림 기능 개발 실시간 알림 시스템 구현 이강 6/5 ~ 6/11 스프린트 2 6 채팅 기능 개발 사용자 간 실시간 채팅 기능 구현 문수혁 6/12 ~ 6/18 스프린트 2 7 위치 기반 기능 개발 지도 API 연동 및 반려동물 위치 기반 탐색 기능 유병선 6/26 ~ 7/2 스프린트 3 8 관리자 기능 개발 관리자 권한 기능 (공지 등록, 유저 제재 등) 문수혁 7/24 ~ 7/30 스프린트 4 9 커뮤니티 기능 개발 커뮤니티 게시판 작성 및 댓글 기능 구현 전민관 7/31 ~ 8/6 스프린트 4 10 이메일 알림 기능 개발 공지 및 매칭 관련 이메일 전송 기능 구현 이강 8/7 ~ 8/10 스프린트 4 11 기능 고도화 사용자 피드백 기반 기능 개선 전체 팀 8/21 ~ 9/10 스프린트 5 12 테스트 및 버그 수정 통합 테스트 및 기능별 오류 수정 전체 팀 9/11 ~ 9/17 스프린트 5 13 배포 준비 최종 테스트, 도커 설정, AWS 배포 문수혁 9/18 ~ 10/10 스프린트 6

서비스 출시 예정일: 2025년 10월 31일

5. 기술관리 방법

5.1 변경 관리 모든 변경 사항은 GitHub Issue로 관리한다다.

주요 변경은 주간 회의에서 팀원들과 논의 후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변경된 기능은 문서화 및 주석을 통해 이력을 남긴다.

5.2 위험 관리 주요 위험 요소

팀원 이탈

일정 지연

API 변경, 외부 서비스 장애 등 기술적 문제

대응 방안

팀원 이탈 시: 업무 인수인계 문서화 및 백업 담당자 지정

일정 지연 시: 기능 우선순위 재조정 및 일부 항목 축소

기술 이슈 시: 교수님 자문 요청 또는 대체 기술 검토

5.3 비용 및 진도 관리 개발 진도 관리 주간 진도 점검: 주간 단위로 개발 진도표를 작성하고, 각 팀원은 할당된 업무를 완료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진도 관리 도구: GitHub Projects를 활용하여 각 기능별 완료 여부를 시각적으로 관리하고, 각 스프린트 목표 달성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예산 관리 총 개발 시간 계산: 각 팀원은 하루 3시간씩 주어진 기간 동안 작업을 진행합니다. 팀원 수는 4명이며, 프로젝트 기간은 2025년 5월 1일부터 2025년 10월 31일까지이이다.

시간당 비용 계산: 팀원들은 최저 시급 기준으로 급여를 지급받습니다. 해당 시급을 기준으로, 프로젝트 전체 기간 동안의 총 비용을 계산한다.

최저 시급: 2025년 대한민국의 최저 시급이 10,030원

총 개발 시간: 하루 3시간 × 4명 × 5개월 (20주) = 240시간

총 비용: 240시간 × 10,030원 (최저 시급) = 2,407,200원

주간 점검 및 예산 초과 방지: 매주 예산 및 소요 시간을 점검하여,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실제 비용이 예산을 초과할 경우, 즉시 조정 작업을 진행하여 개발 계획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5.4 문제점 해결 방안 문제 발생 시 Slack 또는 회의를 통해 즉시 공유한다.

모든 이슈는 GitHub Issue로 기록 및 담당자를 지정한다.

중대한 이슈는 회의에서 우선순위 조정 후 빠르게 대응하며, 해결된 내용은 문서화한다

6. 표준 및 개발 절차

6.1 개발 방법론: 애자일(Agile) 본 프로젝트는 애자일(Agile) 개발 방식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애자일 방식은 고정된 계획보다는 유연한 대응과 반복적인 개선을 중시하며, 사용자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하여 실제 사용 가능한 결과물을 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개발 방법론이다. 6.2 애자일 방식 적용 계획 스프린트 단위 개발 진행: 전체 개발 기간을 약 4주 단위의 스프린트로 구분하여 각 주기마다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한다.

주기적인 결과물 제공: 각 스프린트 종료 시점마다 실제 사용 가능한 기능을 구현하여 배포하고, 팀 내부 및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한다.

회고 및 피드백 반영: 스프린트 종료 후 회고를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고,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한다.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팀원 간 긴밀한 협업을 위해 일일 회의 또는 협업 도구(Slack, Discord 등)를 활용하여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이슈를 신속히 해결한다.

6.3 애자일 방식의 장점 요구사항 변경에 대한 유연한 대응 가능

사용자 중심의 기능 개선 및 반영

점진적이고 반복적인 개발을 통한 리스크 분산

6.4 스프린트 진행 방식 스프린트 계획 회의: 스프린트 시작 전에 목표 설정 및 작업 분담을 진행

일일 회의: 매일 작업 상황을 공유하고 문제 사항을 논의

스프린트 회고: 스프린트 종료 후 회고를 통해 개선점 도출

6.5 스프린트 일정 (총 6개 스프린트, 각 4주 단위) 스프린트 기간 주요 목표 세부 작업 내용 스프린트 1 2025년 5월 1일 ~ 2025년 5월 28일 기초 기능 구현 사용자 회원가입 및 로그인 반려동물 등록 및 프로필 관리 API 기본 UI 설계 스프린트 2 2025년 5월 29일 ~ 2025년 6월 25일 검색 및 알림 기능 개발 품종/성별/나이별 검색 기능 실시간 알림 시스템 구축 채팅 기능 구현 스프린트 3 2025년 6월 26일 ~ 2025년 7월 23일 위치 기반 서비스 개발 지도 API 연동 반려동물 위치 기반 탐색 기능 구현 스프린트 4 2025년 7월 24일 ~ 2025년 8월 20일 관리자 및 커뮤니티 기능 구현 관리자 권한 기능 (공지, 유저 제재) 커뮤니티 게시판 기능 구현 스프린트 5 2025년 8월 21일 ~ 2025년 9월 17일 고도화 및 사용자 피드백 반영 기능 개선 테스트 사용자 피드백 반영 스프린트 6 2025년 9월 18일 ~ 2025년 10월 15일 최종 점검 및 배포 준비 버그 수정 최종 테스트 AWS 배포 준비

서비스 출시 예정일: 2025년 10월 31일

7. 검토 회의

7.1 검토회의 일정 주기: 각 스프린트 종료일에 맞춰 총 6회 진행

참석자: 팀원 전원

7.2 검토회의 진행 방법 형식: 스프린트 리뷰 형식으로 진행

내용: 개발된 기능 시연, 구현 결과 발표, 코드 리뷰, 백로그 연계 확인

도구: Google Meet, Jira, GitHub, Miro 등 협업 도구 활용

7.3 검토회의 후속 조치 회의 후 Google Form 또는 구두 방식으로 피드백을 수집하고 회의록에 기록한다.

수집된 피드백은 우선순위에 따라 정리하여 백로그에 등록하며, 필요 시 즉시 처리 항목으로 분류하여 다음 스프린트에 반영한다.

모든 회의 결과 및 피드백 반영 사항은 Notion 또는 협업 도구에 정리한다.

8. 개발 환경

본 프로젝트의 개발에 사용되는 도구 및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발 언어 및 프레임워크

Java (OpenJDK 21)

Spring Boot

JPA (Java Persistence API)

개발 도구 (IDE)

IntelliJ IDEA

데이터베이스

MySQL

서버 및 배포 환경

AWS (Amazon Web Services)

Docker

운영 체제

Windows 11 / Linux (개발자별 환경에 따라 상이)

9. 테스트 계획

성능 테스트 전략 주요 기능(로그인, 게시글 등록, 실시간 채팅 등)을 중심으로 테스트

사용자 트래픽이 몰릴 수 있는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테스트 수행

각 스프린트 종료 후, 해당 기능에 대한 성능 테스트 정기 실시

성능 테스트 도구 JMeter: API 부하 테스트

Lighthouse / WebPageTest: 프론트엔드 성능 측정

Chrome DevTools: 네트워크 속도 및 렌더링 성능 확인

성능 기준 로그인 응답 시간: 1초 이내

페이지 로딩 시간: 3초 이내

채팅 메시지 수신 지연: 1초 이하

TPS(Transaction per Second): 100 이상

10. 문서화

문서 작성 방안 작성 문서:

요구사항 정의서

API 명세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서

사용자 매뉴얼 등

문서 포맷: Markdown, Google Docs

문서 관리 방안 저장 위치: GitHub /docs 폴더 및 Google Drive

버전 관리: Git을 통한 변경 이력 관리

공유 및 협업: Google Docs 및 Notion으로 팀원 간 실시간 협업

점검 주기: 스프린트 종료 시 문서 최신화 여부 점검

11. 유지보수

PETCONNECT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한다. 11.1 사용자 모집 및 초기 유지보수 비용 계획 서비스 런칭 후, 지인 추천 및 에브리타임과 같은 대학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초기 사용자 확보

초기 운영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은 웹사이트 내 광고 수익을 통해 조달할 예정

11.2 서비스 고도화 계획 서비스 이용자 증가로 인해 SMTP 발송 제한이 초과될 경우를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고도화 계획을 마련한다: SMTP 제한 초과 시 대응 방안

사업자 등록 후, 기업용 SMTP(예: Amazon SES, Google Workspace 등)로 전환

사용자 알림 기능을 위해 카카오 비즈메시지 API(알림톡) 연동

비용 조달 방안

기업용 SMTP 및 카카오톡 API 사용에 따른 비용은 웹사이트 광고 수익을 통해 충당

11.3 유지보수 기간 서비스 런칭 후 6개월간 무상 유지보수 제공

이후, 필요에 따라 유상 유지보수 계약 체결 가능

11.4 유지보수 항목 오류 수정 (Corrective Maintenance)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버그 및 시스템 오류를 신속히 해결

예: 채팅 기능 오류, 위치 기반 검색 미작동 등

기능 개선 및 피드백 반영 (Perfective Maintenance)

보호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UI/UX 개선

예: 프로필 편집 기능 향상, 짝 매칭 조건 추가 등

환경 대응 유지보수 (Adaptive Maintenance)

운영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예: 모바일 OS 업데이트 대응, 지도 API 변경 등

예방적 유지보수 (Preventive Maintenance)

시스템 점검 및 보안 패치 적용

예: 주기적인 로그 분석, 트래픽 이상 감지 등

11.5 유지보수 운영 방식 이슈 접수 채널

웹사이트 내 관리자 문의 기능

GitHub Issues 또는 이메일 접수: support@petconnect.io

업데이트 및 배포 방식

정기 업데이트: 월 1회

보안 패치 및 긴급 오류 수정: 필요 시 즉시 반영

모니터링 체계

실시간 에러 로깅 및 장애 감지 시스템 도입

사용자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한 성능 개선

11.6 유지보수 인력 구성 전담 유지보수 개발자 4명

필요시 고객 피드백 및 문의 대응 담당자 1명 추가

12. 설치, 인수

(시스템 설치 방법 및 인수 절차) 12.1 설치 환경 및 배포 방법 서버 환경

클라우드 서버(AWS EC2 또는 Naver Cloud 등)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 배포

운영체제: Ubuntu 22.04 LTS

백엔드: Java Spring Boot

프론트엔드: HTML/CSS + GitHub Pages

데이터베이스: MySQL

배포 방식

GitHub Actions 또는 Jenkins를 활용한 CI/CD 자동 배포 시스템 구축

백엔드 서버는 Docker로 컨테이너화하여 배포

정적 리소스는 GitHub Pages 또는 S3에 호스팅

도메인 설정 및 SSL 인증서 적용

커스텀 도메인 연결 (예: petconnect.io)

Let’s Encrypt를 활용한 HTTPS 적용

12.2 인수 절차 1단계: 설치 및 기능 테스트

기능 구현 후, 테스트 서버에 설치

전 기능(회원가입, 매칭, 채팅, 알림 등) 검토 및 테스트 수행

2단계: 사용자 테스트(UAT)

실제 사용자 또는 테스트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여 시범 운영

피드백 수집 및 개선 반영

3단계: 최종 점검 및 운영 인수

모든 주요 기능 및 보안 점검 후, 최종 배포

인수 문서(매뉴얼, 시스템 아키텍처, 유지보수 계획 등) 전달

서비스 운영을 위한 관리자 계정 및 운영 권한 이관

12.3 문서 및 설치 매뉴얼 관리자용 서비스 운영 매뉴얼 제공

사용자 매뉴얼(FAQ 포함) 제작

시스템 구성도 및 DB 설계서 등 기술 문서 포함

13. 참고문헌 및 부록

(참고 자료 목록 및 부록 내용) 13.1 참고문헌 Spring Framework 공식 문서

GitHub Docs - GitHub Pages Documentation

카카오 비즈메시지 API 가이드

Amazon SES 공식 문서

HTML Living Standard - WHATWG

모바일 UX 디자인 가이드라인 (Google Material Design)

에브리타임 커뮤니티 정책 및 활용 사례 (https://everytime.kr)

13.2 부록 부록 A.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도 백엔드 서버, 프론트엔드, DB, 외부 API 연동 구조를 나타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포함

부록 B. 데이터베이스 ERD 회원, 반려동물, 매칭 요청, 채팅, 알림 테이블 간 관계를 나타낸 ERD 다이어그램

부록 C. 화면 설계서 (와이어프레임) 메인 페이지, 로그인/회원가입, 매칭 화면, 채팅 UI 등 주요 기능 화면의 와이어프레임

부록 D. 관리자 페이지 기능 목록 회원 관리, 신고 처리, 공지사항 등록 기능 등 관리자 기능 설명서

부록 E. 테스트 시나리오 및 결과 요약 주요 기능별 테스트 항목, 시나리오, 테스트 결과 요약표

Leave a comment